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벤츠 오너라면 꼭 알아야 할 소모품 종류 및 위치와 점검 방법 : 엔진오일, 냉각수(부동액), 배터리

자동차사용법

by 와이피카 2025. 8. 27. 19:06

본문

지난 '벤츠 오너라면 꼭 알아야 할 소모품 종류 및 위치와 점검 방법 : 연료계통과 주행안전장치편' 글에 이어서 구동계통편에 관한 내용입니다.

 

벤츠 오너라면 꼭 알아야 할 소모품 종류 및 위치와 점검 방법 : 연료계통과 주행안전장치편

차량의 작은 소모품 관리조차 방치하다 보면 오히려 더 큰 비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엔진오일을 제때 보충하지 않으면 엔진 내부 마찰로 수백만 원대의 수리비가 발생할 수 있고, 브레

www.bymecar.com

 

복잡한 정비적인 부분은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셔서 점검하시는 편이 좋으며, 본 내용은 벤츠차량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확인/점검을 통해 자가수선(교체)하거나 서비스 센터를 방문할 시점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구동계통은 엔진과 변속기, 그리고 동력을 전달하는 핵심 부품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관리 소홀 시 수리비가 수백만 원에서 천만 원 단위까지 커질 수 있습니다.

 

배터리는 단순히 시동 불능에 그치지 않고, 주행 중 전조등이나 브레이크등이 꺼지거나 전자제어 장치가 오작동하는 등 안전사고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주행 중 차량이 그대로 멈춰버리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어, 정기적인 확인과 관리가 필수입니다.

 

꼭 알아야 할 구동계통의 소모품의 종류 및 위치와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벤츠 e클래스 디젤차량 기준입니다.)
※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거나 분해/해체/조립이 필요한 부분은 없습니다.

 

구동계통

1. 엔진오일

확인방법

시동 직후나 경사로에서는 정확한 수치가 나오지 않으므로, 엔진을 끄고 평지에 5분 이상 세운 뒤 전자식으로 확인

계기판 → 서비스  →  엔진오일량 선택
게이지가 MAX와 MIN 사이의 정상 범위에서  “OK”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부족 시에는 보충 메시지와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 잔량 확인까지만 가능하며, 오일의 색상·점도·오염 정도는 알 수 없습니다. 

  엔진 소음 증가, 떨림, 매연 심해짐, 가속 불량 같은 변화가 있으면 오일 점검이 필요합니다.

벤츠 계기판 내 서비스 선택후 엔진오일량 메뉴화면
계기판에 표시된 엔진 오일량 게이지. MIN~MAX 범위 내에 오일량이 충분하다는 메시지와 그래프가 표시됨.

 

교체주기

일반적으로 1만 ~ 1만5천 km 혹은 1년마다 1회 교체가 권장됩니다.

  • 고속도로 위주 장거리 주행 → 교체 주기가 조금 더 길어질 수 있음
  • 도심 단거리/정체 구간 위주 주행 → 교체 주기를 앞당기는 것이 안전

벤츠 계기판에는 서비스 알람으로 오일 교체 시점을 자동으로 알려주지만, 오염 및 점도불량 / 오일레벨센서고장 등의 이유로 경고등이 안뜨기도 하니, km단위로 점검을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2. 냉각수(부동액)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해 라디에이터로 전달하고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동결 방지(겨울철 얼음 방지)와 부식 방지 첨가제가 들어 있어 엔진 금속 부품을 보호합니다.

 

확인방법

온도확인 : 계기판 → 서비스  →  냉각수 선택

온도게이지를 확인하고 80℃~100℃ 전후사이가 정상이며, 110℃이상으로 올라가면 경고 메시지 “Coolant Visit Workshop” 표시

110℃ 이상 경고등 점등 시 : 냉각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면 안전한 곳에 정차 후 시동은 켠 채 에어컨을 끄고 히터를 최대로 가동해 열을 식히되, 보닛을 열더라도 라디에이터 캡이나 냉각수 탱크 뚜껑은 절대 바로 열지 말아야 합니다.

계기판 설정 메뉴에서 ‘타이어, 정비주기 알림, 냉각수, 엔진 오일량’ 항목이 표시된 화면. 냉각수가 선택된 상태.
계기판 중앙에 표시된 냉각수 온도 게이지 화면. 온도계 아이콘과 함께 50℃ ~ 130℃ 구간 눈금, 현재 냉각수 온도 약 90℃ 부근 표시.

 

냉각수 용량 및 색상확인 방법

  • 보닛을 열고 우측 상단의 반투명 리저버 탱크를 확인합니다.
  • 탱크 옆면의 MIN~MAX 눈금 사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냉간 상태에서 확인해야 정확)
  • 부족 시 계기판에 “Coolant Check” 같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벤츠 E클래스 자동차 엔진룸(보닛) 여는 방법(+엔진룸 구조 및 위치)

자동차를 타다 보면 보닛을 여는 경우가 가끔씩 발생합니다. 워셔액을 넣는다던지, 배터리를 교환한다던지 하는 등 자가수선이 필요하거나 A/S기사님들이 방문했을때 벤츠차량은 모르시는 경우

www.bymecar.com

차량 보닛 안쪽에 위치한 냉각수 리저버 탱크 사진. 검은색 플라스틱 케이스와 ‘뜨거울 때 열지 말 것’ 경고 표시가 보임.냉각수 보조 탱크 내부를 촬영한 사진. 분홍색 계열의 냉각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가 보임.

 

냉각수 색상

정상 → 분홍색·보라색·청록색 등 투명하고 맑은 색상 (벤츠 순정은 분홍/보라 계열이 많음)
이상 → 갈색·녹물색·탁하거나 거품이 많은 상태 → 부식, 첨가제 소모, 냉각계통 문제 가능성

 

교체주기 및 주의사항

순정 OAT(Organic Acid Technology) 기반의 롱라이프 타입 (유기산계 첨가제) 냉각수 기준 약 5년 또는 10만 km 전후, 이후에는 2~3년에 한 번씩 교체 권장.

냉각 효율 저하로 엔진 과열, 실린더 헤드 손상, 헤드가스켓 파손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

 

 

3. 배터리

벤츠 차량에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함께 탑재되어 있습니다. 메인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을 걸고 전조등·계기판·내비게이션 같은 주요 전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보조 배터리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필수 전자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지원하며, 메인 배터리 전압이 급격히 떨어질 경우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도 합니다.

 

배터리(메인) 위치 및 탈거방법

보닛 안 우측(조수석 쪽) 커버 아래에 메인배터리가 위치합니다.

케이스 탈거는 처음 큰케이스는 90도 꺾어 주신후 해체하시면 되고 배터리 보호케이스는 그냥 빼주시면 빠지고 끼울수 있는 구조입니다.

차량 보닛 내부에 장착된 메인 배터리 사진. VARTA 브랜드 배터리와 빨간색 플러스 단자 커버, 배터리 주변 배선이 확인됨.

 

배터리 교체신호

시동이 잘 걸리지 않거나, 무겁게 걸리고 배터리 경고등이 발생

전장장치가 자주 꺼지고, 에코스타트/스톱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음

보조 배터리 고장(Auxiliary Battery Malfunction)이라는 메시지가 표시

 

배터리 교체주기 : 메인 배터리는 보통 3~5년 주기(주행거리·환경·전장 사용량에 따라 단축될 수 있음)이며 보조 배터리는 2~4년 주기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으로 시동꺼짐과 아트라스배터리 교체 후기

자동차 배터리 방전과 교체 후기입니다. 점퍼 시동의 한계, 배터리 수명과 교체 시기, 델코·아트라스·로케트 브랜드별 성능 차이를 비교하고 실제 교체비용에 관한 글입니다. 지속적인 시동꺼

www.bymecar.com

 

 

다음 글에서는 차내환경/편의장치 소모품 종류와 점검 방법을 이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벤츠 오너라면 꼭 알아야 할 소모품 종류 및 위치와 점검 방법 : 와이퍼, 워셔액, 에어컨필터

지난 '벤츠 오너라면 꼭 알아야 할 소모품 종류 및 위치와 점검 방법 : 구동계통편' 글에 이어서 실내환경/편의장치편(와이퍼,워셔액, 에어컨필터)에 관한 내용입니다. 벤츠 오너라면 꼭 알아야

www.bymecar.com

 

 

관련글 더보기